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90

<우울증 극복 시리즈3> - 정신건강과 방문기 -정신건강과 방문기 지난 글에서는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 중 심리상담센터를 방문한 이야기를 작성해 보았습니다. 또 다른 시도로 정신건강과를 방문하였습니다. -심리상담센터 방문기 (tistory.com) -심리상담센터 방문기 - 우울증이란? 자가진단 (tistory.com) - 우울증이란? 자가진단" data-og-description="오늘부터 시리즈 형식으로 저의 우울증 치료기를 작성해 보려 합니다. 지금은 괜찮아져서 이 nutri-minilog.tistory.com 정신과라는 말을 떠 올렸을 때 갖게 되는 느낌은 어떤가요? 전 제 인생에서 정신건강과를 방문하게 될 거라곤 1도 생각 못했습니다. 정신과에 다니는 사람은 극도로 심한 우울이나, 정신 분열, 반복적인 자살시도등을 한 좀 별난? 사람들이.. 2021. 2. 10.
복리의 마법 -주식 수익률 계산 복리의 마법 - 주식 수익률 계산 초, 중학교 때 수학이나, 경제를 배울 때 배운 개념 "복리와 단리" 그 당시에는 아 그런 게 있구나 하고 넘어갔습니다. (그 당시 더 잘 배워 뒀어야 하는 건데,,, 이래서 어릴 때부터 경제 교육이 중요한가 봅니다.) 투자를 하다 보면 여러 전문가들이 복리, 복리를 외칩니다. 오늘은 복리에 대해 공부해보려 합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붙는 이자이지만, 복리는 '원금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입니다. 따라서 복리 계산이 이자가 훨씬 많이 붙게 됩니다.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복리와 단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엄청난 차이가 납니다. 복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 반해, 단리는 일정하게 증가합니다. 아무리 저축, 투자의 수익률이 높아도 기간이 짧으면 얻게 되.. 2021. 2. 9.
자본주의 공부하기 자본주의 공부하기 자본주의란? "자본이 지배하는 경제체제" 우리는 자본주의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한때 저는 근로소득만이 정당한 것이고 불노소득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졌습니다. 노동소득만이 정당하고 가치있는 돈을 버는 방법이라고 생각했죠. 그리고 주식 투자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들 때문에 주식을 하면 망한다, 불노소득은 가치 없는 것이다 라고 판단한 것이죠. 주식투자를 투기로 생각했던 것이었죠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돈이 돈을 벌어오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합니다. 인간의 노동력은 한계가 있는데 돈은 한계가 없습니다. 제가 일하지 않아도 똑똑한 자산은 돈을 벌어다 줍니다. 제가 살아가는 세상은 자본주의 시장이기에 제가 잘 살기 위해서는 자본주의 속성을 반드시 이해해야만 했습니다. 반드시 그 특성을 이해해야지.. 2021. 2. 7.
똑똑한 대학생활 꿀tip 곧 사회생활 3년 차! 벌써 대학 졸업한 지가,,,, 저는 14학번으로 중간에 1년 휴학하고 2019년도에 졸업했습니다. 2월이 되니 고3 수능 시험을 치르고 대학 입학하기 전 걱정과 설렘의 마음이 떠오릅니다. 저도 아직 세상을 많이 살아 본 건 아니지만,, 제 대학 생활을 떠 올리며 어떤 경험들이 소중했고 아쉬웠는지 적어보려 합니다. 아직 대학생인 여러분들은 읽어보시고 대학 생활이 조금 더 풍요로워졌으면 좋겠습니다. 1. 학점 관리 잘 한 점 저는 대학교 때 과 수석도 해보고 학기 내내 4.0 이상은 유지했습니다. 우선 학점 관리를 잘해두면 생기는 기회가 정말 많습니다. 저는 식품영양학과를 전공했는데 학점 관리를 잘해 둔 덕에 교직이수를 하게 되었고, 지금은 영.. 2021. 2.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