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일상/돈관리

우량기업에 투자하기

by 밥순이 영양쌤 2021. 4. 24.
728x90
반응형

우량기업에 투자하기

아직 주식투자를 시작한지 얼마 안 된 주린이입니다~

전 지금 사회생활 3년차로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이 많지 않아,,, (월 40만 원 정도)  

원금을 절대 잃지 않고, (단기적으로) 떨어져도 마음이 편한 투자를 지향합니다.

제가 투자하는 돈은 당장(2~3년/이사 전까지) 필요한 돈이 아니어서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거라는 믿음이 있는

우량한 기업들에만 투자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총 1등 주식 삼성전자, 미국 시총 1등 애플을 한 달에 한주 이상 매수하며

나머지 돈으로는 사고 싶은 ETF를 매수하고 있습니다.

 

<미국개미> 적금처럼 살 주식 - SPYG (tistory.com)

 

<미국개미> 적금처럼 살 주식 - SPYG

2월 5일에 적금이 만기 되는데 어떤 주식을 쇼핑할까 고민하는 중입니다. 저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쫄보 투자자로 개별주보다는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ETF에 관심이 더 많습니다. 잃지 않는

nutri-minilog.tistory.com

제가 시총 1등 기업에 투자하는 이유는 단순하게 쉽게 망하지 않을 것 같아서 입니다.

여러분은 상상이 되시나요 삼성전자가 없는 대한민국이, 애플이 없는 미국이

전 제가 숨 쉬고 있는 한 삼성전자와 애플은 계속 존재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물론 과거와 같은 성장은 못할 수도 있지만, 그래서 다른 기업들보다 주가 성장률은 떨어질 수 있지만 

지금의 1등 기업이니까 제 돈을 기업에 투자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혁신'이 아니었다...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이 IT공룡 된 이유 (naver.com)

 

'혁신'이 아니었다...구글·애플·페이스북·아마존이 IT공룡 된 이유

[경향신문]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빅4’로 불리는 미국의 IT기업들이다. 그러나 ‘유튜브’ ‘페이스북’ 등의 서비스 시장은 이미 ‘지구’이며 사업 영역 또한 현대문명 전반이라

n.news.naver.com

 

기사에선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기업, 혁신을 주도하는 빅테크 기업인 애플,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이

‘혁신’이 아닌 ‘거대한 인수·합병’을 통해 엄청난 성장을 이뤄냈다고 한다.

 

2006년에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했습니다.

전 당연히 유튜브가 구글이 만들어낸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구글이 16억 5천만 달러를 주고 인수한 기업이라고 합니다.

그 당시에는 많은 돈을 주고 인수한 것에 대한 비관적인 시각도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 전 세계에서 유튜브를 모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학교 현장에서도 많이 쓰며 지금은 브라운관을 대체하는 플랫폼으로도 사용합니다.

그 당시 구글의 선택이 정말 탁월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의 환율로 계산해보면 거의 2조가 가까이 되는 금액

 

결국 회사의 몸집을 불려 나가기 위해서 (사업 영역 확장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자본 즉  "돈"

유튜브가 아무리 매력적인 회사라고 느꼈어도 구글이 돈이 없었다면?

유튜브는 다른 돈 많은 기업에게 넘어갔을 수 도 있었다. 

 

부의 진리에서도 나온 내용입니다.

 

자본주의가 공고해질수록 부의 집중이 심화되고,

부의 집중이 심화될수록 부를 가진 기업은 더더욱 견고한 성을 쌓게 되었다.

전에는 뛰어난 기술력과 인적자원을 보유한 회사가 우량한 기업이었다면,

이제는 현금자산을 많이 보유한 기업이 우량기업이다.

 

현금이 많으면 더 이상 기술력, 경영력에 좌우될 필요가 없다.

기술력, 경영력이 있는 회사를 사면 되기 때문이다.

돈이 주인인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력이 있으면 돈으로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결국 우리가 살고 있는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돈이 가장 강력한 힘을 갖고 있습니다.

제가 투자한 기업이 막강한 현금으로 세상을 놀라게 할 기업들을 인수하고,

투자하면 결국엔 주가는 오를 것입니다.

그래서 전 오늘도 우량한 기업에 제 작고 소중한 돈을 투자합니다.

여러분 모두 잃지 않는 투자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조급함을 버리고 꾸준하게 차곡차곡 모아갑시다!

 

 

 

728x90
반응형

댓글